Consulting & Advisory
컨설팅 & 자문
컨설팅 & 자문
(1) 이해관계자 인터뷰 | Interview with Key Decision Makers
스마트 오피스의 핵심 의사결정을 내리는 키맨, 스마트오피스 구축의 각 영역 총괄 담당자와의 심도있는 인터뷰를 통해 스마트오피스 구축의 궁극적인 목적과 제한사항을 확인합니다.
(2) 핵심 이용자 인터뷰 | Interview with Key Users
스마트오피스의 실제 이용자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직원들을 선발하여
스마트오피스에 대한 직급별/부서별 니즈를 확인하고 미래를 위한 이슈를 점검합니다.
(3) 스마트오피스 컨셉 . 방향성 도출 | Smart Office Concept & Direction
선행된 인터뷰 내용과 스마트워크 트렌드를 분석한 후, 스마트 오피스의 궁극적인 컨셉(목적)을 도출하고, 이 컨셉을 실현하기 위한 스마트오피스 방향성을 도출합니다.
(4) 전직원 온라인 설문조사 | Online User Survey on Workplace & User Behavior
스마트오피스에 입주할 직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오피스의 컨셉과 방향성을 확인하고 업무공간 및 업무행태를 파악할 수 있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합니다.
(5) 설문조사 통계 및 분석 | User Survey Analysis
설문조사 참여자의 응답을 양적.질적으로 분석하고, 필요한 경우 교차분석을 진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공간기획은 물론 스마트오피스 제도와 관련된 다양한 인사이트가 도출됩니다.
(6) 방향성 & 배치 전략 도출 | Workplace Planning Strategy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오피스의 방향성 별 공간기획 및 배치 전략을 도출합니다. 실제로 도면작업을 들어가기에 앞서 어떤 전략을 녹일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7) 기준측 요건서 도출 | Concept Plan Floor Plan
스마트워크의 전반적인 공간기획 방향에 맞춰 실제 도면의 요건서를 작성합니다. 요건서에는 어떤 공간이 왜, 어느 규모로, 어떤 조건에 맞춰 설계되어야 하는지가 포함됩니다.
(8) 컨셉설계 및
평면도 제작 | Workplace Planning Strategy
요건서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컨셉설계와 평면도 제작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은 설계 디자이너, ICT 담당자, HR 담당자, 자산관리 담당자 등과의 협업이 필수입니다. 대략적인 공간배치가 끝나면 실제 수치를 기반으로 기준층의 평면도를 제작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실제 이용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가구 사이즈 및 설비 조건들을 반영해야 합니다.
(9) 기본설계 & 실시설계 | Drawing Development & Working Drawing
확정된 컨셉설계와 평면도를 중심으로 실구축이 가능한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를 시작합니다. 앞서 확정한 방향성과 중요 요건이 변하지 않는 선에서 현장상황에 맞는 변경이 가능합니다.
(10) 입주 전 이용자 간담회 | Users Open Meeting
Before Moving-in
스마트 오피스에 입주하기 전, 직원들이 스마트오피스 구축의 배경과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고, 기획 의도에 맞게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간을 갖습니다.
(11) 입주 전 리더십 교육 | Leadership Training Before Moving-in
업무공간이 변하고 하이브리드 워크가 일상이 되면 리더의 역할이 어떻게 변하는지 이해하고, 스마트 오피스에서 구성원과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을 습득합니다
(12) 입주 후 이용자 리뷰 | Users Review Meeting One Month after Moving-in
구성원들이 새로운 업무공간에 적응하며 실제 이용 경험이 쌓이는 시점으로 구성원들의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의견과 피드백을 듣습니다.
(1) 원격근무 (Remote Work) | 필요하면 언제 어디서든누구나 원하는 업무를 할 수 있는가
◼︎ 업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최소화
◼︎ 어디서든 필요한 업무가 실질적으로 가능한 업무환경
(2) 업무공간 (Workplace) | 사무실은 개인의 업무와 동료와의 협업을 위한 최적의 장소인가
◼︎ 구성원간 협업과 교류 극대화
◼︎ 구성원 개인의 업무 효율 극대화
(3) 회의 (Meetings) | 최소한의 리소스와 시간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내는 회의를 하고 있는가
◼︎ 회의의 효율 최대화 (시간과 리소스 낭비 줄이기)
◼︎ 회의의 효과 최적화 (회의의 목적 달성)
(4) 협업/소통 (Collaboration) | 조직 구성원들이 한 몸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일하고 있는가
◼︎ 업무 과정의 실시간 공유 / 빠르고 실질적인 피드백
◼︎ 부서 간 자료공유 및 협조 / 업무 목표 및 방항성 인지
(5) 워라밸 (Work-life Balance) | 일과 생활의 균형이 잡혀 있으며, 구성원이 조직에서 한 인간으로서 존중받는가
◼︎ 집중과 휴식의 균형 /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
◼︎ 업무의 자율성과 다양성
5가지 핵심 성공요소 (Critical Success Factors)
◼︎ 인프라 (Infrastructure) : 변화를 위한 인프라 혹은 관련 설비가 충분한가
◼︎ 정책 (Policy) : 변화를 위한 전사 차원의 정책 및 가이드라인이 명확한가
◼︎ 교육 (Education) : 변화의 필요성, 의미, 방향성을 구성원들이 이해하고 있으며,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 리더십 (Leadership) : 변화의 방향성과 실질적인 리더십과 리더의 마인드셋이 일치하는가
◼︎ 조직문화 (Culture) : 변화의 방향성을 구성원들이 신뢰하고 있으며, 실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진단결과 및 제안 (Report and Proposals)
◼︎ 진단 결과 : 핵심성공요인을 기반으로 각 업무방식 영역별로 점수를 산출하고, 추가적인 리소스를 투입할 필요가 없는 부분(유지해야 할 부분)과 적극적으로 신경써야 할 부분(보완이시급한 부분)을 도출
◼︎ 방향성 & 액션플랜 : 각 영역별로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기반으로 하여, 하이브리드 워크의 본격적인 진행 전, 현재의 업무행태를 반영한 구체적인 방향성과 액션플랜을 제안
(1) 워크룰의 이해 (Understanding)
◼︎ 워크룰이란 무엇이며, 하이브리드 워크에 왜 필수인가
◼︎ 워크룰, 굳이 문서로 만들 필요가 있는가
◼︎ 워크룰은 어떻게 구성되며, 우리 회사에는 어떤 항목이 꼭 필요한가
◼︎ 워크룰은 누가 결정하며,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
◼︎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는 워크룰 수립 프로세스는 무엇인가
(2) 워크룰 논의 (Discussion)
◼︎ 조직별 목표와 성과를 기반으로 원격근무 경험 회고하기
◼︎ 우리 조직의 대면/비대면 근무 기회 & 리스크 예상하기
◼︎ 업무방식 체크 (1) 목표 : 조직이 추구하는 목적에 대한 공동의 이해
◼︎ 업무방식 체크 (2) 역할 : 구성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공동의 이해
◼︎ 업무방식 체크 (3) 자원 : 구성원의 사용 가능한 자원에 대한 공동의 이해
◼ 업무방식 체크 (4) 규범 : 구성원 간 효율적 협업 원칙에 관한 공동의 이해
(3) 워크룰 작성 (Work Rule Pack)
◼︎ 근무방식 : 공동업무 시간, 집중업무 시간, 상태공유, 휴가 및 출장, 원격근무 상황, 원격근무 대상, 원격근무 장소, 체크인과 체크아웃, 원격근무의 보안 등
◼︎ 커뮤니케이션 : 주요 커뮤니케이션 툴, 이메일, 채팅(메신저), 화상회의, 전화, 대면 커뮤니케이션 등
◼︎ 회의 : 정기회의, 회의 시간, 회의 장소, 회의 자료, 회의 참석자, 회의 진행, 회의 기록, 화상회의 기본매너 등
◼︎ 협업 : 프로젝트 정보, 업무 공유, 업무 요청, 피드백, 안건 제안 등
◼︎ 연결/소속 : 1 on 1 진행방식, 1 on 1 진행, 신입직원, 팀워크, 자기계발 등
◼︎ 고객사에 맞는 항목별 워크룰 표준샘플과 디자인 팩이 제공됩니다
(4) 워크룰 점검 (Review)
◼︎ 워크룰 점검의 세 가지 기준 : 목표달성, 협업, 구성원의 성장
◼︎ 워크룰 점검의 대상 : 목적, 계획, 주기, 내용
◼︎ 워크룰 점검 방법 (1) eview &. Renew
◼︎ 워크룰 점검 방법 (2) 목표/역할/자원/규범 기반 체크리스트
◼︎ 워크룰 점검 방법 (3) 1:1 설문과 인터뷰를 통한 이슈 점범
◼︎ 워크룰 점검을 위한 리더의 Do & Don't
◼︎ 워크룰의 수립/점검 년간 일정 제안
컨설팅 진행과정 & 서류 다운로드
진행 순서
고객사 컨설팅 문의 ( betalab.info@gmail.com )
➔ 고객사 니즈 파악을 위한 미팅 (온라인)
➔ 1차 컨설팅 제안서/견적서 공유
➔ 컨설팅 내용 협의/조율
➔ 컨설팅 일정 및 조건 확정 ➔ 계약 진행
컨설팅 자료 제작
컨설팅에 필요한 교안과 레포트는 맥용 프로그램인 키노트(.key) 형식으로 제작되며, 최종 결과물은 16 : 9 비율의 PDF 형식으로 공유합니다.
워크샵 진행
오프라인 진행시, 현장 세팅을 위해 베타랩 스탭은 늦어도 1시간 전에 현장에 도착합니다. 온라인 교육 진행시, 보안을 위해 고객사의 전용 화상회의 툴로 진행합니다. 화상회의 툴이 Zoom, Google Meet, Teams, Webex 가 아닌 경우에는 고객사의 직원을 통한 사용법 지원이 필요합니다.
세금계산서 발급
컨설팅 진행이 확정된 후에는 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해 고객사의 사업자등록증을 이메일 (betalab.info@gmail.com)로 보내주세요.
베타랩 서류
베타랩의 사업자등록증 & 통장사본은 왼쪽 텍스트를 클릭하면 다운로드 됩니다. 별도의 로그인은 필요하지 않습니다.